아직도 많은 분들이 네이버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서비스로 ‘지식iN’을 언급합니다. 지식iN은 2002년 10월, 네이버(당시 NHN)에서 시작한 ‘질문형 지식 검색’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궁금한 내용을 등록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알고 있는 다른 사용자가 그 질문에 답을 해주는 ‘크라우드(Crowd)’ 서비스이자 집단 지성을 활용한 서비스였습니다.
이 서비스가 주목받은 가장 큰 이유는 서비스 출시 1년 만에 검색분야 3위, 포털분야 3위 사업자에 그치던 네이버를 검색분야 1위, 포털분야 2위로 만들어준 ‘일등 공신’ 서비스라는 점입니다. 몇 년째 독보적인 포털분야 2위를 하고 있던 야후코리아를 뛰어넘는 이변이었죠. 또 공급자, 수요자 모두에게 큰 변화가 사실상 힘든 검색서비스에서 1년만에 3위 사업자가 1위로 껑충 오르게 되었습니다. (참고 : 네이버, 검색포털 1위 등극 (2003년) / 올해의 인터넷 9대 이슈.. 네이버 약진 (2003년)) 이 기세를 몰아 연달아 오픈한 블로그, 카페 등의 서비스가 ‘대박’을 치면서 다음이 몇 년째 고수하고 있던 포털분야 1위마저도 네이버가 가져가게 됩니다. (참고 : 네이버, 포털순위 1위(2004년))
어떻게 네이버는 지식iN으로 1년만에 검색분야 1위를 탈환하고, 그 기세를 몰아 종합 포털 1위에도 오를 수 있게 되었을까요?
5 comments
당시에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도 잘 몰랐지만, 지나고보니 굉장히 심리학적으로 정교한 서비스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답변자는, 글에서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자신의 지식을 뽐내면서 ‘인정’과 ‘성취’라는 욕구를 충족시키고,
질문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1:1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개인화’된 욕구를 충족시키고~
오랫만에 꼼꼼히 들여다본 지식iN 서비스였지만 굉장히 유용했네요~ 감사합니다.
“심리학적으로 정교한 서비스”라는 코멘트가 정말 와닿네요 ㅎㅎ 질문자와 답변자의 니즈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해 워킹할 수 있게 한 서비스였죠. 질문자들은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기에 질문을 적극적으로 올린다고 해도 답변자들이 자발적으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서비스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었을 것 같은데요. 그 부분을 정말 잘 해결했던 것 같습니다. 두고두고 볼 만한 레퍼런스인 것 같습니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네, “심리학적으로 정교한 서비스”라는 코멘트가 정말 와닿네요 ㅎㅎ 질문자와 답변자의 니즈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해 워킹할 수 있게 한 서비스였죠. 질문자들은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기에 질문을 적극적으로 올린다고 해도 답변자들이 자발적으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서비스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었을 것 같은데요. 그 부분을 정말 잘 해결했던 것 같습니다. 두고두고 볼 만한 레퍼런스인 것 같습니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