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6일 밤 10시, 네이버 TV의 실시간 Top100의 1위부터 20등까지 이 프로그램의 클립으로 채워졌습니다. 바로 최근에 가장 핫한 예능 ‘프로듀스 101 시즌 2’ 입니다. 콘셉트 평가 무대의 직캠이 이 날 오후 6시에 공개 되자 팬들이 몰리면서 빠르게 조회수가 올라가게 된 것입니다. 프로듀스 101 시즌 2는 ‘속편의 저주’를 이겨내고 본편 보다 나은 ‘속편’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시청률도 매회 기록을 갱신하고 있으며 첫 방송 직후부터 8주 내내 콘텐츠 영향력 지수(CPI)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듀스 101 시즌 1의 누적 영상 조회수 1억 8천뷰를 거뜬히 넘기며 데뷔조가 선발되지도 않았지만 2억 3천만뷰를 돌파하며 본편을 뛰어넘는 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네이버 TV, 카카오 TV, 유튜브, 곰TV 합산 / 2017년 5월 25일 기준) 뿐만 아니라, 프로듀스 101 시즌 2의 출연진인 박지훈, 강다니엘 연습생의 직캠은 각각 900만뷰를 넘기며 네이버 TV 최초로 단일 영상 기준으로 1,000만뷰 달성을 앞두고 있습니다.
프로듀스 101의 컨셉은 국민 프로듀서로부터 ‘선택’을 받아 아이돌로 데뷔하는 것입니다. ‘선택’을 받아야 해피엔딩을 맛볼 수 있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죠. 1차 순위발표식에는 100명의 연습생 중 65등까지만, 2차 순위발표식에서는 1차에서 살아남은 65명의 연습생 중 35등까지만 다음 스텝으로 갈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11명의 연습생만이 살아남아 데뷔를 하게 됩니다. 그러기에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선택’을 받기 위한 연습생들의 몸부림, 내가 지지하는 연습생이 ‘선택’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팬들의 몸부림이 그야말로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이미 ‘선택’을 통해 누군가는 이기고 누군가는 지게 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바로 ‘선거’입니다. 다수의 후보자 중 대중으로부터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사람이 승자의 자리를 꿰차게 되죠. 선거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있습니다. 그 변수는 후보자 개인의 능력일 수도 있고, 소속되어 있는 그룹의 결집력일 수 있습니다. 후보자들은 선거에서 그런 변수로부터 조금이라도 더 이득을 보고 대중으로부터 선택과 지지를 받고자 다양한 전략들을 구사합니다. 이는 현재 프로듀스 101 시즌 2와 매우 흡사합니다. 무명의 연습생이 지지자를 가지게 되고, 희망하는 필드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듀스 101 시즌2는 단순한 예능 프로그램을 넘어서 어떻게 하면 대중으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에 프로듀스 101 시즌2에서 엿볼 수 있는 ‘이기는 선거 전략’을 한번 개인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