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TV에서 마땅히 볼만한 프로그램이 없어 넷플릭스를 살펴보게 되었다. 이 패턴만 봐도 TV 시대의 위험이 단적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TV에 볼만한 게 없어도 채널을 돌려보면서 어떻게든 맘에 드는 채널을 찾아보려 했지만, 이제는 한 바퀴만 돌려보고 마땅한 채널이 없으면 바로 넷플릭스를 켜는 시대이니 말이다.
최근 고향에 있는 부모님댁의 TV가 대형 스마트TV로 바뀌면서 넷플릭스가 연동되기 시작했다. 큰 화면에서 넷플릭스의 UHD 4K 영상을 보는 거란,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신세계였다. 아직도 어떤 순간에는 깜짝 놀라며 화질 정말 좋네를 혼자말로 할 때가 있다.
주로 넷플릭스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나 영화를 봤지만, 이번에는 다큐멘터리를 살펴보게 되었다. 직장 동료에게 듣기론, 넷플릭스가 고퀄리티 다큐멘터리로도 큰 인기가 있다고 했다. 물론, <하우스 오브 카드>나 <기묘한 이야기>처럼 오리지널 시리즈물의 인기가 오늘날의 넷플릭스 붐을 만들긴 했지만, 오리지널 다큐멘터리도 그에 못지 않은 매니아층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넷플릭스를 사용해본 처음으로, 오리지널 다큐를 보게 되었다.
리스트를 살펴보다가 선택한 다큐멘터리는 바로 <마스 제너레이션>. 사실 우주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우주 영화는 무조건 챙겨보는 편이며, 이번 설에도 영화 <그래비티>를 3번째 다시 봤다. (이 역시도 넷플릭스로! 넷플릭스 만세!) 다소 비현실적인 광활한 우주의 모습과, 이에 반해 현실적인 지구의 파란 모습에 호기심이 자극되는 느낌을 항상 받는다.
또한, 우주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일로 위해 항상 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위기를 해결하는 모습과 사고법, 대처법 등을 보는 것도 우주물을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나에게 <마스 제너레이션>이라는 제목은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고, 난 바로 재생을 눌렀다. 보는 내내 많은 영감을 받았던 다큐멘터리 <마스 제너레이션>에서 떠올렸던 영감에 대해서 기록해보고자 한다.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마스 제너레이션>의 트레일러 영상 (출처 : 넷플릭스)
# 왜 지금의 10대는 ‘화성 세대’일까?
화성에 대해 제대로 관심을 갖게 된 건 <마션> 이라는 영화 덕분이었다. 영화 줄거리는 이렇다. NASA의 아레스3 탐사대는 화성을 탐사하던 중 모래폭풍을 만나게 되고 팀원 마크 와트니가 사망했다고 판단하여 그를 남기도 떠난다. 극적으로 생존한 마트 와트니는 화성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자신이 살아있음을 지구에 알리기 위해 노력한다. 이후, NASA와 와트니는 비록 느리지만 의미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탈출할 방법을 찾아가게 된다.
이 영화를 보고 난 뒤 막연하게 생각했던 ‘화성’이라는 존재에 대해 보다 실체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아레스3 탐사대의 화성 탐사 이야기가 곧 우리 시대가 맞이할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다큐멘터리를 보면 화성 탐사에 대해 인류는 지금까지 어떤 상상력을 가져 왔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영화와 TV 드라마를 통해 우리는 화성에 대해 항상 상상해왔고, 화성 탐사 로봇의 이름을 ‘큐리오시티’ 즉, 호기심이라고 붙일 정도로 아직 인류가 도달하지 못한 미지의 행성으로 여겨왔다. 그리고 그 상상의 방점을 영화 <마션>이 찍었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고 지금의 10대는 <마션>과 같은 영화를 통해 인류의 그 다음 우주 목표는 화성 탐사 및 정착이라는 점에 대해 확실하게 인지하는 세대가 되었다.
인류가 그동안 바래왔던 화성 탐사가 NASA의 SLS(Space Launch System) 와 오리온 우주선 그리고 일론 머스크가 이끌고 있는 스페이스 엑스 등의 항공 우주 기업들의 활약으로 인해 빠르면 2020년, 늦어도 2030년까지는 화성에 인류가 발을 내딛게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즉, 지금의 10대인 청소년들이 우주인으로서 최소의 자격을 갖추게 되는 때가 바로 인류의 화성 탐사가 본격화 될 수 있는 기술적인 토대가 갖춰질 때이다. 그래서 지금의 10대를 ‘마션 제너레이션’, 즉 화성 세대라고 부르는 것이다.
# NASA의 스페이스 캠프는 어떤 모습일까?
NASA에서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페이스 캠프를 진행한다는 사실은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 하지만 스페이스 캠프의 디테일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었다. 다큐멘터리의 절반 가량은 스페이스 캠프에서 미래의 우주인을 꿈꾸는 청소년들이 어떤 프로그램에 임하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스페이스 캠프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우주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왜 우주를 좋아하게 되었는지, 이들은 화성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인터뷰를 통해 보여준다.
인상 깊었던 것은 이들이 모두 16-18세에 불과하지만 확실한 자신만의 생각과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왜 화성이 그 다음의 우주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기도 하고 미국 행정부가 NASA의 예산을 감축하는 것에 대해 노골적으로 비난하기도 하고, 대중들의 관심 속에서 NASA가 사라져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안타까운 점이라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한다. 또, 예산 감축으로 인해 우주 왕복선 프로젝트에 차질이 생기자,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 좌석을 비싼 가격에 구매해 미국인 우주인을 태워 보내게 되었는데, 이는 매우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모았다. 이들을 보면서, 이나이 또래에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고, 얼마나 자신만이 소신과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가 꿈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 Mars Generation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던 Abby가 It’s our time (이제는 우리 시대야!) 에 대해 발표하는 영상 (출처 : 캐네디 우주센터)
또한, 이들에게서 모두 긱(Geek, 괴짜)함이 느껴졌다. 흔히 괴짜 과학자 또는 개발자를 표현할 때, 긱함이 있다고 표현하다. 이 다큐멘터리에 나온 모든 아이들은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 설명할 때는 어느 누구보다도 열정과 집중을 표현했다. 어린 나이에 저럴 수 있을까, 싶었고 다큐멘터리를 보는 내내 굉장히 부러웠던 점이다. 로켓 제작을 하면서 물리학을 응용해 설계 공식을 만들어보기도하고, ‘파이썬’이라는 컴퓨터 언어를 통해 로봇 프로그래밍을 해보면서 우주 로봇 공학자의 꿈을 키워나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각자가 확고한 자신만의 관심 분야가 있었고 이를 토대로 어떤 우주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명확하게 그들의 머리 속에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페이스 캠프가 굉장히 ‘현실적인 경험’으로 설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놀랬다. 예를 들면 로켓을 제작하는 실험에서는 로켓 제작 미션과 함께 이들에게 부여된 건 바로 ‘예산내역서’ 였다. 프로젝트 총 예산이 얼마인지가 사전에 세팅되고 각각의 부품에는 얼마의 예산이 필요한지 목록표가 있었다.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무제한의 예산이 아닌 제한된 예산에서 가장 효율적인 로켓을 만들어야 했다. 예산이 넘어가게 되면 부품을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했고, 쓰고 싶지만 예산상의 이유로 쓰지 못하는 부품이 생기기도 했다. 굉장히 현실에서 부딪힐 만한 이슈가 가정된 실험이었다. 이런 경험을 통해,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우선순위를 통해 꼭 필요한 부품을 우선 장착해야 한다는 점과 사용하고 싶지만 예산상 사용할 수 없는 부품이 생길수도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깨닫게 되었다.
# 우주 항공 산업의 발전상을 한 번에 볼 수 있다
이 다큐멘터리가 의미있었던 또 다른 점은, 인류의 우주 항공 산업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되었는지를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는 것이었다. NASA의 창립에 대해서, 그리고 NASA가 어떤 방향으로 우주 산업을 이끌었는지를 보여준다. 소련에 첫 로켓 발사를 허용하며, 우주 산업 넘버원에서 밀리게 된 미국은 NASA를 급히 조직하여 관련 기술을 연구&개발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소련보다 먼저 달에 우주인을 보냄으로써 우주 강대국의 자리를 탈환하게 된다. 이후에는, 우주 왕복선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인류가 우주 여행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우주 왕복선 프로젝트가 수십차례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진전이 없게 되자 미국인의 우주 열광은 금새 식기 시작했고 미국 행정부는 NASA의 예산을 감축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NASA를 향해, 우주 왕복선 프로젝트 이후의 ‘넥스트’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새롭게 알게된 사실은 ‘폰 브라운’이라는 인물에 대해서였다. 폰 브라운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적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독일 나치군에 있던 로켓 연구원으로서, 소련에 밀리게 된 우주 기술을 만회하고자 미국은 폰 브라운을 영입하게 된다. 이후 폰 브라운의 전두지휘하에 미국의 항공 우주 산업은 급속히 발전하게 되고, 그는 이런 업적 덕분에 대통령과 걸맞는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지금에 NASA가 갖게된 명예와 미국이 소련과 함께 우주 강대국이될 수 있도록 한 인물이 누구일까 궁금했는데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게 되었다. 그에 대해서는 나중에 차후 더 깊게 알아볼 예정이다.
# 그 밖에 느낀 인사이트
이 다큐멘터리의 주 메시지는 항공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가 헛된 꿈을 향한 투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사실 항공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막대한 예산을 허무한 곳에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다큐멘터리는 오히려 반문하며, 오늘날의 모든 기술들이 사실은 항공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물을 정화해서 먹는 정수 기술부터 스마트폰의 작은 카메라까지 모두 항공 우주 산업에서 먼저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 연구결과가 상용화되어 오늘날의 현대인이 새로운 편리함으로 만나고 있다는 것이다.
전적으로 동의되는 부분이었다. 우주인들이 극단적인 환경인 우주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들이 실제로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건조를 통해 유효기간을 대폭 늘린 즉석식품부터 분뇨로 인한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는 분류 처리 기술 까지, 모두 항공 우주 산업에서 시작되었다. 항공 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는 헛된 투자가 아니라, 전 인류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생존 기술’에 대한 투자인 것이다.
두 번째는 스페이스 엑스의 멋진 실험 정신이다. 사실 몇 년전만 하더라도 우주 산업은 사기업 영역이 아닌 국가의 영역으로 고려되는 점이 컸다. 연구비 단위가 매우 높고, 국가기관이 아니고서는 의사결정이 어려운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는 화성에 대한 인류의 호기심을 충족하고 화성에 인류의 새로운 희망이 있다는 확신으로 스페이스 엑스라는 우주 민영 기업을 만들었다. 이후 그는, 화성까지의 왕복 비용을 극단적으로 줄이고 대량 수송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로켓 개발에 1차적으로 모든 것을 올인했고 2016년 그는 결국 성공했다.
▲ 로켓 제작 비용과 제작 기간으로 인해 탐사 준비 기간이 길어지는 본질적인 문제를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가능한 로켓(팔콘9)을 실험했고, 2016년 4월 성공했다 (출처 : 유튜브 킹베이비)
▲ 스페이스 X는 2018년 2월 6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로켓 추진체를 만들어 세계 최대 중량 발사에 성공했으며, 총 3개의 추진체 중 2개의 추진체는 재사용을 위해 다시 미사일 발사 기지로 돌아오며 NASA도 지금까지 하지 못한 일을 해냈다. (출처 : 스페이스 X)
일론 머스크를 보면서, 그는 꿈을 현실로 만드는 능력이 대단하는 것을 또 한번 느꼈다. 심지어 그가 스페이스 엑스라는 우주 민영 기업을 세운다고 했을 때 많은 우주 전문가들이 회의적이었지만, 이제는 많은 분들이 그에게 희망을 걸고 있다는 인터뷰 내용이 다큐멘터리에 나온다. 말만이 아닌 실천하는 모습과, 무엇이 문제인지를 본질적으로 본 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진다는 점에서 큰 박수를 보내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제는 심지어, 그와 같은 경영인이 있어 참 다행이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이니 말이다.
# 마치며
<마스 제너레이션> 다큐멘터리는 두고두고 몇 번 더 볼 생각이다. 오랜만에 좋은 메시지를 담고 있는 다큐멘터리를 본 것과 실제로 궁금했던 스페이스 캠프의 프로그램, 항공 우주 산업의 발전상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스페이스 캠프가 있는 미국이 살짝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에서 대표로 내밀 수 있는 과학 캠프가 과연 있을까? 물론, 미국과 같은 우주 산업 강대국이어야 우주 캠프 인프라도 갖추어지겠지만 과학 분야에 있어서 여전히 10대 청소년들이 꿈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은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이 든다. 만약 넷플릭스 회원이라면, 꼭 이 다큐멘터리는 한번 보셨으면 한다. 분명 느끼는 바가 많은 명품 다큐멘터리일 것이다.